모든 이미지는 클릭 시 커집니다!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완전히 초급부터 시작해서 원리와 이론 모두 이해하는 방향으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급하신 분' 이나 '이론이 필요없다' 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빠르게 필요한 부분으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된다면 앞으로 다른 작업을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두 읽어보는 것을 되도록 추천드립니다.)
과정>결과
목차
1. 준비물
1-1. 준비과정
2. USB에 윈도우 설치파일 이식
3. 바이오스나 부트매니저를 통해 USB로 부팅
3-1. 윈도우 설치
4. 완료
전 내용과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3. 바이오스나 부트매니저를 통해 USB로 부팅
준비과정까지 모두 진행하셨으면 윈도우 설치용 USB가 준비가 되었을 겁니다.
이제 윈도우 설치만 남았는데요,
아무리 쉽게 만들려고 해도 전처럼 자동으로 USB로 우선 부팅 셋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보니
바이오스로 넘어가서 USB를 우선적으로 부팅하게끔 설정하거나
부트 매니저를 통해 USB로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컴퓨터를 끄면 캡쳐 기능을 사용 할 수 없기 때문에
저의 설명력과 여러분의 이해력을 믿고서
이 과정을 글로서 밖에 설명 해 드릴 수 없습니다.
(혹시나 나중에 사진을 추가하도록 노오오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부트매니저로 진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하겠습니다.
1. 부트메니저로 진입
컴퓨터 전원을 끈 뒤,
전원을 다시 킨 상태로
켜자마자 동시에 자신의 메인보드에 해당하는 키를 연속해서 눌러주시면 됩니다.
메인보드를 확인하는 방법
컴퓨터에 전원을 켜고 윈도우로 진입하기 전에
검은 화면에 가운데에 큰 글씨로 메인보드의 로고가 뜹니다.
이를 확인하고 진행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자신의 메인 보드를 모르겠다고 하면 다른 방법을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메인보드 별 부트 메니저 진입 키
ASUS : F8
GIGABYTE : F12
ASROCK : F11
BIOSTAR(이엠텍,앱솔루트 ESTAR 메인보드) : F9 or F7(최신제품)
FOXCONN : ECS
MSI : F11
INTEL : F10
해당 목록에 없는 메인 보드의 경우 따로 문의 바랍니다.
그런 다음 자신의 USB 명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2. 바이오스로 진입
(해당 내용은 이해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인해 잠시 수정중에 있습니다.)
3-1. 윈도우 설치
전단계를 이해하고 넘어왔다면 다음 단계부터는 사진과 함께 쉬운 내용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미지 캡쳐를 위해 가상 머신을 사용했으니 설치 내용을 제외한 인터페이스는 무시해 주셔도 됩니다.
무사히 전단계를 마쳤다면 바로 해당 이미지로 넘어오게 됩니다.
조금 기다리면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다음(N)
-
해당 창이 뜨게 되면 수정할 필요 없이 다음을 눌러주세요.
지금 설치(I)
-
지금 설치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대기.
제픔 키가 없음(I)
-
Windows 10 Pro 선택 후 다음(N)
-
동의함(A) 체크 후 다음(N)
-
사용자 지정: Windows만 설치(고급)(C)
-
드라이브 파티션 선택 후 포맷(F)
-
해당 내용은 설명이 조금 필요합니다.
자신의 C드라이브(기존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주 디스크)가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
해당되는 드라이브를 포맷하여 주세요.
확인
-
대기해준 뒤
완료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재부팅 됩니다.
윈도우 셋팅 작업
컴퓨터가 재부팅이 된 후, 컴퓨터를 초기 셋팅하는 작업입니다.
기초적인 단계이기 때문에 편안한 마음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지역 선택
Microsoft 입력기 선택
상관없지만 상관이 없으니 건너뛰기
기다림..
개인용 설정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이 있거나 가입을 원하는 사람은 한 후 진행하고 그냥 진행을 원하면
오프라인 계정 선택
PC명 작성 뒤 다음
컴퓨터 패스워드 설정, 원치 않는다면 기입하지 않고 다음
다 써봤는데 기능을 알지 않는이상 쓸대가 없더라구요,, 그냥 다 꺼줍시다..
Hola!
걸려요
4. 완료
끝입니다.
이젠 진짜 끝! 생각나고 추가할 내용은 수정해서 재업로드를 하겠습니다.
이상 윈도우 설치용 USB 제작과 이론의 내용은 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