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이미지는 클릭 시 커집니다!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완전히 초급부터 시작해서 원리와 이론 모두 이해하는 방향으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급하신 분' 이나 '이론이 필요없다' 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빠르게 필요한 부분으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된다면 앞으로 다른 작업을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두 읽어보는 것을 되도록 추천드립니다.)

과정>결과







목차


1. 준비물

1-1. 준비과정

2. USB에 윈도우 설치파일 이식

3. 바이오스나 부트매니저를 통해 USB로 부팅

3-1. 윈도우 설치

4. 완료





전 내용과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3. 바이오스나 부트매니저를 통해 USB로 부팅



준비과정까지 모두 진행하셨으면 윈도우 설치용 USB가 준비가 되었을 겁니다.


이제 윈도우 설치만 남았는데요,
아무리 쉽게 만들려고 해도 전처럼 자동으로 USB로 우선 부팅 셋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보니

바이오스로 넘어가서 USB를 우선적으로 부팅하게끔 설정하거나

부트 매니저를 통해 USB로 진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컴퓨터를 끄면 캡쳐 기능을 사용 할 수 없기 때문에

저의 설명력과 여러분의 이해력을 믿고서

이 과정을 글로서 밖에 설명 해 드릴 수 없습니다.

(혹시나 나중에 사진을 추가하도록 노오오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부트매니저로 진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하겠습니다.



1. 부트메니저로 진입


컴퓨터 전원을 끈 뒤,

전원을 다시 킨 상태로

켜자마자 동시에 자신의 메인보드에 해당하는 키를 연속해서 눌러주시면 됩니다.


메인보드를 확인하는 방법

컴퓨터에 전원을 켜고 윈도우로 진입하기 전에

검은 화면에 가운데에 큰 글씨로 메인보드의 로고가 뜹니다.

이를 확인하고 진행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자신의 메인 보드를 모르겠다고 하면 다른 방법을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메인보드 별 부트 메니저 진입 키

ASUS : F8 

GIGABYTE : F12 

ASROCK : F11 

BIOSTAR(이엠텍,앱솔루트 ESTAR 메인보드) : F9 or F7(최신제품) 

FOXCONN : ECS 

MSI : F11 

INTEL : F10 



해당 목록에 없는 메인 보드의 경우 따로 문의 바랍니다.


그런 다음 자신의 USB 명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2. 바이오스로 진입

(해당 내용은 이해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인해 잠시 수정중에 있습니다.)





3-1. 윈도우 설치


전단계를 이해하고 넘어왔다면 다음 단계부터는 사진과 함께 쉬운 내용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미지 캡쳐를 위해 가상 머신을 사용했으니 설치 내용을 제외한 인터페이스는 무시해 주셔도 됩니다.


무사히 전단계를 마쳤다면 바로 해당 이미지로 넘어오게 됩니다.


조금 기다리면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다음(N)

-

해당 창이 뜨게 되면 수정할 필요 없이 다음을 눌러주세요.



지금 설치(I)

-

지금 설치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대기.



제픔 키가 없음(I)

-


Windows 10 Pro 선택 후 다음(N)

-


동의함(A) 체크 후 다음(N)

-


사용자 지정: Windows만 설치(고급)(C)

-


드라이브 파티션 선택 후 포맷(F)

-

해당 내용은 설명이 조금 필요합니다.

자신의 C드라이브(기존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주 디스크)가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

해당되는 드라이브를 포맷하여 주세요.


확인

-


대기해준 뒤

완료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재부팅 됩니다.





윈도우 셋팅 작업



컴퓨터가 재부팅이 된 후, 컴퓨터를 초기 셋팅하는 작업입니다.

기초적인 단계이기 때문에 편안한 마음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지역 선택



Microsoft 입력기 선택 



상관없지만 상관이 없으니 건너뛰기



기다림..



개인용 설정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이 있거나 가입을 원하는 사람은 한 후 진행하고 그냥 진행을 원하면

오프라인 계정 선택



PC명 작성 뒤 다음



컴퓨터 패스워드 설정, 원치 않는다면 기입하지 않고 다음



다 써봤는데 기능을 알지 않는이상 쓸대가 없더라구요,, 그냥 다 꺼줍시다..



Hola!



걸려요





4. 완료



끝입니다.



이젠 진짜 끝! 생각나고 추가할 내용은 수정해서 재업로드를 하겠습니다.

이상 윈도우 설치용 USB 제작과 이론의 내용은 끝입니다.
























아아아...

프리미어 3강


해당 내용는 프리미어cc2017~2018 영어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이미지는 클릭시 커집니다!

오타 문의 받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프리미어의 인터페이스가 영어로 되어 있으니 영어로 셋팅해 주시기 바랍니다.


영어셋팅은 C:\Program Files\Adobe\Adobe Premiere Pro CC 2017\Dictionaries 에 들어가서 ko_KR 폴더명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해당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선 프리미어 1, 2 의 내용을 읽고오는게 도움이 됩니다.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오늘은 이펙트 중에 크로마키 컬러키에 대해 알아볼겁니다.

컬러키는 특정 컬러를 잡아서 해당 컬러를 빼주는 효과입니다.


일단은 예제 파일을 포토샵으로 작업해 주세요.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여야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해당 물체와 완전 다른 특정 색감으로 배경을 칠해줍니다.




프리미어로 가져와서 소스를 영상으로 제작해줍니다.

(포토샵으로 작업해서 뽑아도 됩니다.)



인코딩 셋팅은 위와 같습니다.




영상파일로 뽑은다음 프리미어로 다시 불러와줍니다.




메인 메뉴 밑에 여러 탭이 있는데 그중에 이팩트 탭을 선택하시고

타임라인 패널에서 해당 영상 소스를 클릭해준 다음,

우측에 있는 이펙트 탭에서 

Video Effects - Keying - Color Key

를 드래그해서 타임라인에 있는 소스에 올려주세요!



그다음 좌측 이펙트 컨트롤에서 color key 가 추가됩니다.

Key Color 에서 스포이드 버튼을 누른 다음 배경이 되는 컬러를 찍어줍니다.

그렇게 되면 위 이미지와 같이 조금 남는 부분이 생기는데,

스포이드가 있는 곳 밑에

Color Tolerance, Edge Thin, Edge Feather 세가지를 조정해서




다음과 같이 남은 부분들을 정리해 주시면 됩니다.





그다음에 배경을 불러와, 셋팅을 해주시면 됩니다.


-정리

해당 컬러를 지정해서 배경을 날리고 다른 영상이나 이미지 소스에 올려 같이 합치는 기능이 키 키잉입니다.

사실 이 기능은 실사 영상을 작업할 때 좀 더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유가

애초에 애니메이션 작업을 하면 소스를 따로 뽑을 때 배경을 투명하게 만들어서 뽑을 수 있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을 만들 때는 주로 사용되질 않습니다.

아무래도 색깔을 지정해서 따로 빼는 것 보다는 애초에 없는 투명 배경으로 뽑는게 훨씬 깔끔하기 때문이죠.

크로마키도 비슷합니다.

하지만 그냥 효과를 적용하고 사용해보는 학습으로 기억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컬러키에 대한 내용입니다.




+ 추가내용


수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추가 내용들이 있어서 따로 정리합니다.


시퀀스


우선 시퀀스에 관한 내용인데요,

시퀀스란 한마디로 하나의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시퀀스는 작업파일을 묶어주는 하나의 단위인데요,

그 시퀀스를 묶어주는게 바로 우리가 프리미어를 실행하면 만드는 프로젝트입니다.



참고로 수업시간에 만들었던 시퀀스의 셋팅은

File - New - Sequence... 를 클릭합니다.

또는 포토샵에서 새로운 파일을 만들때 처럼 Ctrl + N 을 눌러도 됩니다.




수업시간에 선택했던 셋팅은 위와 같습니다.

FHD(1920*1080)을 기본으로 작업을 하는 저희에게는 DV의 해상도는 너무 낮기 때문에

HDV 1080p 해상도 30 프레임으로 하는 셋팅을 선택해서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스피드&듀레이션



다음은 Speed / Duration에 관한 내용입니다.

수정을 할 해당 소스에(영상소스 한정) 우클릭을 하면 Clip Speed / Duration... 이 뜹니다.




클릭을 하게 되면 이런 창이 뜨게 되는데요,

Speed 의 퍼센트를 조정하면
클수록 배속이 빨라지고, 낮출수록 배속이 느려집니다.

Duration은 해당 소스의 영상 길이에 맞춰 줄여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Reverse Speed 를 체크할 경우

영상을 거꾸로 셋팅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에..!

'프로그램 > 프리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 2  (0) 2017.11.01
프리미어 1  (0) 2017.11.01

아아아...

프리미어 2강


해당 내용는 프리미어cc2017~2018 영어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이미지는 클릭시 커집니다!

오타 문의 받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프리미어의 인터페이스가 영어로 되어 있으니 영어로 셋팅해 주시기 바랍니다.


영어셋팅은 C:\Program Files\Adobe\Adobe Premiere Pro CC 2017\Dictionaries 에 들어가서 ko_KR 폴더명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이번엔 Effect Controls(효과조정) 에 대해 알아볼겁니다.


전과같이 셋팅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주신 뒤,

이미지 파일을 하나 불러와주세요.


그리고 타임라인 패널로 넘겨서 이미지를 타인라인 위에 올려줍니다.



이미지를 올려주신 뒤 타임라인에 있는 이미지 하나를 클릭해 주신 다음.




소스 모니터 탭 중에 Effect Controls 탭을 눌러주시면 위와같이 나옵니다.

(여러개를 클릭 시 효과조정이 활성화 되지 않습니다.)



우선 기본적인 효과조정 사용법을 알기 위해 Motion 의 하위 내용을 열어주세요.




그리고 소스패널, 타임라인 중 아무곳에서나 원하는 시간대를 맞추세요.



저는 이렇게 0에서 시작하겠습니다.

흔히 이 행위를 키를 잡는다. 라고 하는데 여기서 키가 바로 스톱워치를 시작하면 생성되는 일종의 표식입니다.

참고로 말하자면 시작할 때는 해당 효과를 적용할 곳에 있는 스톱워치 버튼을 눌러야 시작이 됩니다.


이런 느낌..?



참고로 타임패널에서 특정 시간이나 프레임 단위로 이동하려면 저 숫자를 클릭 한 뒤,

원하는 시간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이동 후 다음 키는 원하는 시간대에서 값을 바꿔주면 자동으로 잡히게 됩니다.

포지션일 경우 위치를 바꿔주고, 투명도일 경우 투명도를 바꿔주고.. 등등

스톱워치 옆에 생긴 마름모꼴 점을 사용하여 임의로 찍을 수도 있습니다.




또 이동하여 값을 변형하면 키가 잡히고




한가지가 아닌 여러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줄수도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위치를 설정하는 Position과 크기의 Scale 을 변형해 보았습니다.






오늘 내용도 여기까지, 다음 수업 내용이 나오면 계속해서 기록합니다.








'프로그램 > 프리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 3  (0) 2017.11.08
프리미어 1  (0) 2017.11.01

+ Recent posts